본문 바로가기
주식

금리와 주식 관계성

by 사슴공주 2023. 1. 15.
반응형

1. 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채권의 손실 위험

  • 국내 증권회사의 사업부문은 위탁매매, 자기 매매, 투자은행(Investment Bank: IB), 그리고 자산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  2008년 금융위기 직전에는 위탁매매의 수익 기여도가 전체 순영업수익의 약 70%를 차지했으나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2017년 1분기에는 위탁매매 수익 기여도가 전체 순영업수익의 33%에 불과하다.
  • 이는 증권회사간 위탁수수료 경쟁이 치열해지고 주식시장과 파생상품시장의 거래대금 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위탁매매 부문의 절대 수익이 줄었기 때문이다.
  • 반면 자기매매자기 매매 부문의 수익 기여도는 2008년 금융위기 이전에 전체 순영업수익의 20% 수준에 불과했으나 2017년 1분기에는 전체 순영업수익의 48%를 기록하는 등 자기 매매 부문의 절대 수익과 수익 기여도는 꾸준히 증가했다.
  • 이는 저금리ㆍ저성장ㆍ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ELSㆍDLS 및 RP(Repurchase Agreement)매도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증권회사는 헤지운용 목적으로 채권 보유를 늘려왔으며 시장금리 하락으로 채권 부문에서 평가이익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자기 매매 부문의 수익 기여도가 증가한 것은 위탁매매 수익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낮추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 하지만 국내 증권회사의 채권 보유가 빠르게 증가한 가운데 시장금리가 단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할 경우 보유채권에서 상당규모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2017년 1분기 기준 국내 증권회사의 보유채권 규모는 182조 원으로 2007년 1분기의 34조 원과 비교하면 10년 동안 5.4배 증가했으며 이는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로 18.3%에 해당한다.
  • ELSㆍDLS 및 RP매도 수요 증가에 따라 국내 증권회사는 헤지운용 목적의 채권 보유를 늘려왔으며, 실제 RP매도와 매도파생결합증권 등의 주요 차입부채는 채권보유 규모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꾸준히 증가해 왔다.
  • 한편 시장 금리는 대체로 하락 추세를 보였으나 2013년 하반기에는 국고채 10년물 기준으로 최대 100bp 가까이 상승하는 등 일시적으로 시장금리가 크게 상승했다.
  • 2013년 4분기 에는 시장금리의 상승 여파로 국내 증권회사 전체적으로 보유채권에서 대규모 평가손실이 발생하여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 문제는 향후 한국의 시장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는 데 있다.
  • 만약 2013년 하반기처럼 단기간에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 국내 증권회사는 당시보다 많은 채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 큰 손실을 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 시장금리가 100bp 상승할 경우 채권 부문에서 1조 5,278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장금리가 150bp 상승할 경우 2조 2,940억 원으로 손실금액이 확대될 수 있다.
  • 한편 위기상황 분석(stress testing)을 위해 국고채 3년물 금리가 2002년 2분기부터 2017년 1분기까지 최대 상승폭이었던 67bp만큼 상승하는 것을 가정하면 국내 증권회사 채권 부문의 최대손실 금액은 1조 220억 원으로 추정된다.
  • 해당 위기상황에서의 최대손실 금액은 국내 증권회사의 최근 3년간 연평균 영업이익(3.3조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국내 증권회사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다만 시장금리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면 금리 민감도가 높은 일부 소형사의 경우 손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

 

2.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보증의 손실 위험

  • 최근 증권회사의 채무보증 규모가 빠르게 증가한 가운데 시장금리 상승과 부동산시장 침체가 동시에 나타날 경우 국내 증권회사는 채무보증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손실을 볼 수 있다.
  • 증권회사의 채무보증은 유형별로 지급보증, 매입보장약정, 채무인수약정, 매입확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위험 요인별로는 유동성위험만 부담하는 매입보장약정과 유동성위험과 신용위험 모두를 부담하는 매입확약, 미분양담보대출확약(이하 미담확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2017년 1분기 기준 국내 증권회사의 채무보증 규모는 25.1조원으로 2010년 6.1조 원 대비 4배 이상 증가하는 등 연평균 27% 성장세를 보이며 빠르게 증가했다.
  • 최근 상대적으로 위험수준이 높은 매입확약과 미담확약 비중이 전체 채무보증 규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등 국내 증권회사는 채무보증 부문에서 비교적 높은 위험을 추구해 왔다.
  • 채무보증의 기초자산별로는 부동산 관련 비중이 전체의 67%를 차지하고 있어 부동산시장이 급격히 침체될 경우 증권회사가 채무보증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손실을 볼 우려가 제기된다.
  • 만약 미분양 등으로 여러 PF 대출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부도사건이 발생할 경우 해당 증권회사는 시행사 등의 채무를 떠안기 때문이다.
  • 이때 PF의 담보대출비율(Loan To Value: LTV)이 낮으면 채무의 회수가 가능하므로 손실 위험이 낮다.
  • 반면 LTV가 높으면 부동산시장 침체 시 채무의 회수가 어려워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 다행히 금융감독원(2017) 분석에 따르면 LTV가 50% 이하인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약 6조 원으로 전체의 60% 수준을 차지하고 있어 당장 증권회사의 채무보증이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하지만 2011년 당시 저축은행이 PF 대출에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사례와 같은 극단적 상황이 발생하면 증권회사가 부동산 PF의 채무보증에서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 2017년 1분기 기준 채무보증 규모 기준으로 상위 5개 증권회사가 전체 국내 증권회사 채무보증의 65%를 보유하고 있다.
  • 또한 자기 자본의 100%를 상회하여 채무보증 규모를 보유한 증권회사는 총 4개사로 이중 한 증권회사의 채무보증은 자기자본의 280%를 차지하고 있다.
  • 이들 증권회사의 경우 채무보증의 일부에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하면 자기 자본으로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채무보증의 신용위험 관리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3. 금리 상승에 따른 타 사업부문의 손실 위험

  • 시장금리의 상승은 증권회사의 채권 부문과 채무보증 부문뿐만 아니라 타 사업부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시장금리는 대체로 경제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될 때 상승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자기 매매 부문이 일시적으로 부진하여도 KOSPI가 양(+)의 수익률을 기록하거나 증권시장 거래대금이 증가할 경우 위탁매매나 자산관리, 그리고 투자은행 부문에서는 오히려 수익이 증가할 수 있다.
  • 실제 과거 2002년 2분기부터 2017년 1분기까지 위탁매매, 자기 매매, 자산관리, 투자은행 부문 손익의 상관계수를 측정한 결과 자기 매매와 자산관리 부문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매매와 위탁매매 간에는 비교적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따라서 시장금리 상승 시 타 사업부문의 수익에 힘입어 자기 매매 부문의 손실은 어느 정도 상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자기 매매, 자산관리, 투자은행 부문의 손익 변화는 시장금리 변화와 음(-)의 관계를 가진다.
  • 시장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위탁매매 부문에서는 오히려 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 한편 위탁매매 부문의 손익 변화는 KOSPI 수익률과 KOSPI 거래대금 증감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인다.
  • 특히 회귀계수의 절대치가 커서 위탁매매 부문의 손익은 거래대금 증감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
  • 그 외 자산관리 부문과 투자은행 부문 역시 KOSPI 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인다.
  • 시장금리 상승 시 국내 증권회사는 자기매매 부문에서 손실을 기록할 수 있지만 KOSPI 수익률 상승과 KOSPI 거래대금 증가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위탁매매, 자산관리, 투자은행 부문에서 이익이 발생하여 자기매매 부문의 손실을 충분히 상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01.15 - [부동산] - 금리와 부동산 관계

 

금리와 부동산 관계

1. 금리와 부동산 가격 관계 이자율결정이론에 따르면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 수요가 증가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각각의 이자율 수준에서 종전보다 화폐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화폐수요 곡선

pby10047.tistory.com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본적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3.02.17
기업 순이익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3.02.17
RE 100 이란 ?  (0) 2023.01.15
RE 100 관련주 [5]  (0) 2023.01.15
RE100 관련주 [4]  (0) 2023.0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