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투자 성과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사슴공주 2023. 2. 22.
반응형

투자 성과 평가는 투자자가 투자한 자산의 수익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투자자가 자신의 투자 결정이 올바른 것인지를 판단하고, 재무적 목표 달성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투자 성과 평가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절대 수익률

절대 수익률은 투자자가 투자한 자산의 초기 가치와 최종 가치 사이의 차이를 계산한 것입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절대 수익률 = (최종 자산 가치 - 초기 자산 가치) / 초기 자산 가치

 

예를 들어, 1년 전 1억 원을 투자했고, 오늘 자산 가치가 1억 2천만 원이라면, 절대 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억 2천만원 - 1억 원) / 1억 원 = 0.2 = 20%

 

2) 상대 수익률

상대 수익률은 자산의 투자성과를 대상 자산의 투자성과와 비교하여 측정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비교 대상은 주가지수나 유사한 자산들입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 수익률 = (자산 가치 변동률 - 비교 대상 자산 가치 변동률) / 비교 대상 자산 가치 변동률

 

예를 들어, 1년 전 1억원을 KOSPI 지수에 투자했고, 오늘 KOSPI 지수의 가치 변동률이 10%이며, 투자한 자산의 가치 변동률이 12%라면, 상대 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2% - 10%) / 10% = 0.2 = 20%

 

3) 샤프 지수

샤프 지수는 투자자의 투자 성과가 위험을 감수한 대가로 얻은 수익을 반영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과 비교하여 자신의 투자 성과가 얼마나 뛰어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샤프 지수 = (자산 수익률 - 무위험 자산 수익률) / 자산의 위험 지수

 

위에서 무위험 자산은 보통 정부 채권이나 CD(저축증서)를 의미합니다. 위험 지수는 자산의 변동성을 나타내는데, 대표적으로 베타(Beta) 값을 사용합니다. 베타 값은 자산의 가격변동이 일반적으로 시장 변동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베타 값이 1보다 크면 시장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1보다 작으면 시장 변동에 둔감하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1년 전 1억원을 주식에 투자했고, 오늘 자산 가치가 1억 2천만 원이며, 무위험 자산의 수익률이 2%이고, 투자한 주식의 베타 값이 1.2이라면, 샤프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2% - 2%) / 1.2 = 8.33%

 

정확한 샤프 지수를 계산하려면 위험 지수를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식의 일일 수익률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식 가격의 변동성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복잡한 계산이므로 일반적으로 투자자는 주식의 베타 값만을 이용하여 샤프 지수를 대략적으로 계산합니다.

 

4) T 모형

T 모형은 투자자의 투자 성과가 시장의 투자성과에 비해 얼마나 뛰어난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T 모형은 시장의 평균 수익률 대비 투자자의 수익률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 모형 = (자산 수익률 - 시장 평균 수익률) / 자산의 표준 편차

 

예를 들어, 1년 전 1억원을 주식에 투자했고, 오늘 자산 가치가 1억 2천만 원이며, 시장의 평균 수익률이 8%이고, 주식의 표준 편차가 15%라면, T 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2% - 8%) / 15% = 0.27

 

T 모형은 샤프 지수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T 모형은 자산의 위험을 고려하여 시장 평균 수익률을 기반으로 하여 비교합니다. 즉, T 모형은 자산의 수익률을 시장의 평균 수익률 대비 상대적으로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샤프 지수와 유사하게, T 모형 값이 높을수록 자산의 성과가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 모형은 샤프 지수보다 덜 복잡한 모델이기 때문에, 자산의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T 모형은 샤프 지수와 함께 사용하여 자산의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