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2023년도 국가 투자 방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by 사슴공주 2023. 1. 15.
반응형

1. 미래 성장잠재력 투자 계획

(1) 창의‧도전적 기초연구와 미래 과학기술인재 양성

- 창의적 기초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기초연구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학문 분야별 지원을 체계화하고, 다양한 융합연구 등을 바탕으로 연구 경쟁력을 제고한다. 또한, 미래 과학기술혁신의 주역이 되는 청년‧여성 연구자가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지원한다.

 

(2) 국가 필수전략기술의 체계적 육성

- 인공지능.

- 5·6세대 이동통신.

- 첨단바이오.

- 반도체‧디스플레이.

- 첨단제조‧로봇.

- 이차전지.

- 수소.

- 양자.

- 우주‧항공.

- 사이버보안.

 

(3)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강화

-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핵심품목, 미래선도품목을 중심으로 미래 공급망 대응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4)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 백신‧치료제 생산역량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임상연구를 지원.

- 연구인력‧인프라 등 신속한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기반 조성.

- 신약‧첨단 재생의료 등 투자 지속.

 

(5) 생명건강(바이오헬스) 분야 경쟁력 확보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혁신기술 개발.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기반 조성.

 

(6)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연구개발을 확대 

- 고령화 사회 등 미래 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한 기술개발 및 서비스 창출.

- 명확한 임무(사회문제 해결)에 기반하여재난안전, 주거‧교통 및 치안‧소방 등 국민의 안전 확보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강화. 

 

(7) 과학기술 혁신 선도

-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Data, Network, AI) 기반의 디지털 전환.

- 기술혁신을 통한 2050 탄소중립 실현.

-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기술을 금융‧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신산업‧서비스를 창출.

- 초현실세계(메타버스)의 보편적 서비스화를 위한 증강현실·가상융합(AR‧XR) 등 핵심기술개발.

-  공공 인프라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디지털 복제물(트윈) 기술 등을 활용한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8) 2050 탄소중립

- 철강‧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저탄소 공정기술 개발‧도입.

-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수송수단으로의 전환.

- 태양광‧풍력의 에너지 효율화.

- 전주기 수소 생태계 구축을 바탕으로 신재생 에너지 전환을 촉진.

- 정보통신기술 기반 고효율화.

- 이산화탄소 대규모 포집‧저장(CCUS) 실증 등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 기후변화 모형화·예측 기술개발

- 인력양성, 국제협력 등 탄소중립 플랫폼 확충을 지원

- 기후 적응성 강화를 위한 기반 강화. 

 

(9) 지역 주도의 혁신기반 조성.

- 지역 내 혁신역량 내재화.

- 지역 내 연구거점(대학, 출연연) 구축 지원.

- 초광역권 단위의 혁신거점 연계.

- 지역의 전략‧주력산업 중점 육성.

- 지역 인재의 창출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대학의 기초연구, 지역  청년의 기술기반 창업‧사업화 등을 지원.

 

(10) 중소기업 혁신과 기술 창업‧사업화 촉진.

- 중소‧벤처기업의 단계별 성장 지원.

- 창업주체 다양화.

- 창업교육 등을 바탕으로 실험실 창업 활성화 지원.

 

(11) 연구성과 기반 창업‧사업화 촉진 지원.

- 우수 연구성과가 기술사업화까지 단절 없이 이어지도록 지원.

- 연구개발 기획 단계부터 공공의 수요와 연계를 고려하여 혁신조달 연구개발 추진.

 

(12) 투자시스템 고도화 추진

- 국가 필수전략기술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명확한 임무 바탕의 대형 연구개발 사업 추진.

- 산‧학‧연 거점 중심의 연구기반 확충 및 전략적 연구개발 기획‧성과관리 기능 강화 등 연구개발 지원 플랫폼을 구축.

- 대형연구시설 관리체계 고도화.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연구개발 강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