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압기
(1) 정의
일반적으로 높은 배전계통의 전압을 사용 전압인 저압으로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태양광에서는 인버터의 출력전압을 배전이나 송전계통 전압으로 승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2) 종류
- 절연방식, 사용소재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가. 유입변압기
- 절연, 냉각을 위해 절연유를 사용한다.
- 온도차에 의한 대류방식인 유입자냉식
- 물을 활용하는 유입수랭식
- 공기를 활용하는 유입풍냉식
- 이중 유입변압기가 가격이 저렴하고 널리 사용.
나. 건식변압기
- 불연성으로 건축물 내에서 큐비클형태로 사용된다.
- H종 절연이 사용된다.
다. 몰드변압기
- 에폭시 수지로 몰딩 하여 난연성, 자기 소화성, 절연성능이 우수하고 경년변화가 적다.
- 서지에 약해 서지 흡수기를 반드시 설치한다.
라. 가스절연 변압기
- 절연성능이 우수한 SF6가스를 봉입하여 절연한다.
마. 아몰퍼스 변압기
- 규소강판을 사용하지 않고 비정질 금속을 철심 소재로 사용하여 무부하손실이 적다.
(3) 결선방식
가. 단상 2 선식
- 110V, 220V 등 소규모 전원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나. 단상 3 선식
-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다. 3상 3 선식
- 1차 측과 2차 측을 델타결선하고 출력전압은 3상 단일전압이다.
- 특정부하에 시설물의 주계통전압과 다른 전압을 공급 시 사용된다.
라. 3상 4 선식
- 1차 측은 델타결선하고, 2차 측은 Y결선하여 출력전압은 상전압과 선간전압, 2종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어 거의 이 방식을 사용한다.
2. 배전반
(1) 형태
- 전력계통과 각종 기기 상태를 조작하고 감시하기 위해 여러 장치를 하나의 철재 함 속에 수납한 형태를 갖는다.
- 회로 전압에 따라 특별고압반, 고압반, 저압반으로 구분한다.
(2) 구성
- 회로 개폐장치 : 차단기, 개폐기, 단로기 등.
- 계통 상태 감시 기기 : 전압계, 전류계, 역률계 등.
- 보호기기 : 계전기, 변류기, 계기용 변압기 등.
가. 차단기
- 사고발생 시 계통과 분리시켜 사고 파급 방지.
- 유입차단기 : 절연유를 이용하여 아크 소호.
- 기중차단기 : 자연공기를 이용하여 아크 소호.
- 공기차단기 :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아크 소호.
- 자기차단기 : 아크와 직각으로 자계를 가해 소호.
- 가스차단기 : SF6 가스를 이용하여 아크 소호.
- 진공차단기 : 진공을 이용하여 아크 소호.
나. 개폐기
- 부하전류 계폐에 이용.
- 컷아웃 스위치
-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 기중 부하 개폐기
다. 단로기
- 차단기나 개폐기로 이미 차단한 상태에서 안전을 위해 단로 하거나 회로 변경 시 사용된다.
라. 계전기
- 회로 상태 감시하는 변성기
- 변류기 설정값에 따라 차단기 동작.
- 과전류 계전기 : 회로 단락,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로부터 기기 보호
- 과전압 계전기 : 전압과 부하 시 기기 보호.
- 부족전압 계전기 : 전압 부족시 기기 보호.
- 지락 계전기 : 회로 지락사고 시 기기 보호.
마. 기타 기기
- 각종 계기
- 변류기
- 계기용 변압기
- 피뢰기
- 전력용 퓨즈
- 전력용 콘덴서
- 서어지 방지기 등.
3. 분전반
(1) 특징
- 배선용 차단기 : 과전류 차단
- 계기류 : 전류계, 전압계
4. 뇌서지 대책
(1) 피뢰방식
- 돌침방식 : 시설물의 상단에 뾰족한 형태의 피뢰침을 설치하여 뇌격 흡수.
- 수평도체방식 : 구조물 상부에 수평으로 도체 가설하여 인하도선과 접지전극을 통하여 뇌전류 대지로 방류한다.
- 케이지 방식 : 피보호물을 메쉬형태 도체로 둘러싸는 방식.
(2) 보호범위
- 보호각도법 : 피뢰침의 높이에 따라 보호각이 작아지고 작으면 좋다.
- 회전구체법 : 뇌격거리 R을 반지름으로 하는 구체를 이용해 보호범위 적용.
- 메쉬법 : 피보호물을 메쉬형태의 도체 내부에 두어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방식.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 자동차 형식 승인 (0) | 2023.01.15 |
---|---|
전기차 특징 (0) | 2023.01.15 |
태양광 발전시스템 [3] (0) | 2023.01.15 |
태양광 발전 시스템 [1] (0) | 2023.01.14 |
신재생에너지 이해하기 [1] (0) | 2023.01.14 |
댓글